본문 바로가기
여성가족정책실

성평등활동지원센터

by 복지국가 2023. 2. 11.
반응형
사업개요

서울성평등활동지원센터 임무는 성 평등을 증진하고 삶의 모든 측면에서 성 차별을 방지하는 것입니다. 센터는 여성의 지위 향상과 도시의 성평등 증진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.
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일부는 성폭력이나 차별을 경험한 여성을 위한 법률 및 상담 서비스와 개인 및 단체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입니다. 센터는 또한 젠더 이슈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양성평등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합니다.
또한 서울성평등활동지원센터는 다른 기관 및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도시 여성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원을 동원합니다. 센터는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개인이 충분히 참여하고 번영할 수 있는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
성평등 사회환경 조성을 위해 성평등활동가들의 성평등 의식과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고, 지역적 특성에 맞는 성평등 활동 및 지역 중심 시민 활동가 성장 지원을 위한 행정 및 재정적 지원을 확충하고자 자치구 성평등활동센터 설치 지원하고 있습니다.

사업목적

성폭력이나 차별을 경험한 여성에게 법률 및 상담 서비스를 제공합니다.
개인과 단체를 위한 양성평등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.
젠더 이슈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양성평등과 관련된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합니다.
다른 조직 및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성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자원을 동원하여 도시에서 여성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합니다.
시민사회 활동가를 위한 성평등, 성인지 교육 실시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하고 있고, 더 나아가 성평등활동가의 성장 및 단체 설립·운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
사업근거

○ 양성평등기본법 제36조
○ 서울특별시 성평등 기본조례 제42조 (설치), 제43조 (기능)
○ 성평등활동지원센터 확대운영 추진계획(여성정책담당관-13493호, ʼ19.9.3.)

추진경위

○ ’16.10월 : 서울시 여성NGO 지원센터 설립 및 운영 계획 수립
○ ’17. 3월 : 민간위탁 동의안 시의회(제272회) 승인, 입주위치 확정
○ ’17. 3월 ~4월 : 민관 TF 구성·운영(2회)
- 제1차 회의(’17.3.28.)에서 ‘서울특별시 성평등 활동 지원센터’로 명칭 변경 결정
○ ’17. 10월  : 민간위탁 계약
○ ’18. 3월   : 서울시 성평등활동지원센터 개소식(ʼ18. 3.27.)
○ ʼ19. 4월   : 시의회 임시회(제286회) 민간위탁 재위탁(공모) 보고
○ ʼ19. 9월   : 민간위탁 적격자심의회 개최(수탁기관 선정)
○ ʼ20. 5월   : 자치구 성평등활동센터 2개소(서초구,도봉구) 선정
○ ʼ22. 1월    : 자치구 성평등활동센터 2개소(중랑구, 마포구) 선정
○ ʼ22 .6월.   :  시의회 정례회(제308회) 민간위탁 재위탁(공모) 동의
○ ʼ22. 8월   :  마포구 성평등활동센터 선정 취소 
- 사유: 마포구로부터 운영불가 통보 (마포구 여성가족과-21167, ’22.7.27.)

사업내용

○ 서울시 성평등활동지원센터 운영
- 위 치 : 은평구 통일로 684, 서울혁신파크 공유동 6층
- 기능
‧ 성평등 활동 지원을 위한 사업계획 수립 및 시행
‧ 시민사회 활동가를 위한 성평등, 성인지 교육 실시 및 역량강화 프로그램 운영
‧ 성평등활동가의 성장 및 단체 설립·운영 지원
‧ 기타 성평등 활동 활성화를 위한 사항
○ 자치구 성평등활동센터 지원
- 지원대상 : 도봉구, 서초구, 중랑구
- 주요내용 : 해당 자치구 내 성평등 교육 및 성평등활동 지원사업
- 지원내용 : 자치구별 사업비 지원

향후 기대효과

○ 대중의 성평등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였습니다.
○ 젠더 기반 폭력이나 차별을 경험한 사람들을 위한 법률 및 상담 서비스에 대한 접근성 향상을 포함하여 서울에서 여성의 지위 향상.
○ 교육, 고용, 정치 등 삶의 모든 측면에서 여성의 참여 확대.
○ 정부 기관 및 조직의 성평등 정책에 대한 이해 및 구현 증가.
○ 성별에 관계없이 모든 개인이 충분히 참여하고 번영할 수 있는 보다 평등하고 정의로운 사회를 만듭니다.
○ 젠더 기반 폭력 및 차별 사례 감소.
○ 
성평등 문제를 다루는 조직과 네트워크 간의 협업 및 협력 강화.

사업 담당

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양성평등담당관

2133-5005, 2133-5023, 2133-5026

'여성가족정책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  (0) 2023.02.12
서울 직장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  (1) 2023.02.11
직장맘 지원센터  (1) 2023.02.10
서울여성공예센터  (1) 2023.02.10
여성 새로일하기센터  (0) 2023.02.09

댓글